[ Sons of an Illustrious Father: fight the power ]


에즈라 밀러가 속한 이 밴드는 자신들을 '장르 퀴어' 밴드라 칭하며 그 모든 목소리들을 높이기 위해 자신들의 음악을 이용하는 법을 말한다. 


2018년 8월 16일



의역오역 많았다 ㅠ



2016년 펄스 나이트클럽 총격 사건에 대등하여 작곡한 "U.S.Gay"의 뮤직 비디오에서 스스로를 '장르 퀴어'라고 설명하는 뉴욕 시티 그룹, Sons of an Illustrious Father는 9명의 앙상블과 나란히 출연한다. 그 앙상블은 빨간색과 초록색 조명의 빛을 받으며 춤을 추고, 쓰러지고, 포옹하고, 서로에게 기대고, 서로를 밀어올려 준다. 


"제로미 (비와이어)가 짠 움직임에는 불안정성(precarity)의 감각이 있었어요," 기타리스트이자 보컬리스트, 멀티 연주자인 라일라고 말하며 그 비디오를 떠올렸다. "모두가 천천히 쓰러지지만 결국 서로를 붙들죠. 이건 그짓거리가 항상 괜찮지는 않다는 느낌이지만, 똑바로 서있는 것과 무너지는 것이라는 썰물, 밀물의 끊임없는 움직임 속에 우리가 있는 거죠."


이 수록곡은 일종의 찬가이자, "USA에서 게이가 되는 것"(노래 가사 중 일부)이 어떤 지에 관한 현대의 경험을 해부하는 치열한 논쟁이다. 시각적으로, 밴드는 퍼포먼스, 일러스트레이션, 사진과 타투에 이르기까지 친구이자 자주 함께 작업했던 마스 호브레커의 창의적인 면에 의지했다. 


"마스는 말도 안되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퀴어 아티스트와 사상가, 활동가들이 있는 가장 멋진 커뮤니티를 소집했어요,"라고 라슨은 말한다. 참여자들의 긴 목록 중에는 뷰티 저널리스트 아라벨리 시카디(Arabelle Sicardi), 활동가이자 작가인 타일러 포드(Tyler Ford), 그리고 디자이너 겸 모델인 써드 페르난데즈(Third Fernandez)가 있었다. "노래와 노래의 메세지에 아주 딱 맞다고 느꼈어요. 저희는 퀴어 커뮤니티의 확언을 전달하고 싶었고, 마스가 정말 꿈에 그리던 커뮤니티를 소집해줬죠." 


"U.S.Gay"는 그들의 4번째 앨범에 수록돼있으며, 이 앨범의 곡 순서는 조쉬 아우빈과 에즈라 밀러가 완성했다. <Dues Sex Machina; or, Moving Slowly Beyond Nikola Tesla>라는 제목의 6월 발매된 LP는 삼총사에겐 일탈─ 그들이 실험적인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받아들인 첫번째 순간─지만, 세 명 모두가 작곡을 하고, 노래하고, 프로듀싱하고, 악기를 바꾸는 그들의 부드러운 전통도 계속된다. 그 결과가 독특한 그들만의 사운드다. "감사하게도 우리 팬들은 아주 이상해서 이걸 이해해요, 즉 이건 '우리 존나 이상한 애들이야' 할 때를 아주 입증하는 거죠,"라고 라슨은 말한다. 



우리가 브루클린에서 만났을 때, 밴드는 협력자들의 대열, 팬들과의 관계와 새 음반 발매를 통한 카타르시스의 감정에 대해 열띤 대화를 나눴다. 그들은 액티비즘, 정치와 기술에 관한 예리하고도 사려깊은 인식을 가진 적극적인 사람들이며, 밴드가 개조한 스쿨 버스를 타고 전국을 누볐던 밴드의 초기 시절을 두고 웃음짓는다. 그로부터 많은 것이 바뀌었다: 그 중 하나인 밀러는 <케빈에 대하여>와 <스탠포드 프리즌 엑스페리먼트> 같은 광적인 영화에서 대담한 역을 맡은 것뿐만 아니라 마블 유니버스(^^?ㅎ)의 플래시를 연달아 맡음으로써, 배우 경력으로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그러나 어떤 역할도 그가 계속해오고 있는 밴드처럼 난해한 이들에 대한 그의 취향을 설명해주진 않는 것 같다.)


밴드의 구성진도 바뀌었다. 원래는 라슨이 2009년에 어쿠스틱 프로젝트로 시작했고, 쏜즈는 5명까지 늘어났었다가 현재의 멤버들로 안착했다. 2009년, 밴드와 동명의 데뷔앨범을 낼 때까지 말하자면, 밀러는 이렇게 얘기한다. "완전히 엉망이 되기 시작하던 때를 들을 수 있을 거예요. 저희는 규칙들을 가지고 시작했어요. 어쿠스틱 악기 연주만 하기로 했던 거죠. 그런 뒤엔 그랬어요, '근데 일렉트릭 악기도 재밌잖아!' 그러고 나선 또, '규칙이고 나발이고, 드럼 머신 진짜 좋다.'" 새로운 앨범에서, 그들은 그 풍부한 기타소리와 그들의 포크적 시작에서 나오는 부드러움을 남겨뒀지만, 텐션을 더 날카로운 구조와 항상 있었던 불안한 디지털 허밍을 더했다. 


"가끔 운동가 밴드라고 불리는 게 어색해요, 저희가 저희 몸을 내걸지는 않거든요" ─ 에즈라 밀러 


<Deus Sex Machina>의 두 번째 싱글, "Extraordinary Rendition"을 시각화하기 위해서, 그룹은 또 다른 친구인 영상제작자 라프 스코비-탈(Rafe Scobey-Thal)에게 연락했다. 영국에서 촬영된 비디오는 어둠 속에서 밴드를 비추고, 공들인 의상은 오스카 의상상 수상자인 의상 디자이너, 콜린 앳우드가 맡았다. 그녀는 이 밴드를 완전히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인물"이라고 설명한다. 밀러의 어머니인 현대 무용수이자 안무가 마르타 밀러가 우연히 동네에 있어서 도움을 주러 들르기도 했다. 밴드의 설명에 따르면, 마르타는 노래를 두 번 듣고, 빠르게 완벽한 안무를 그려냈다. "내가 했던 첫번째 공개 공연은 여섯 살 때 어머니와 모성에 대해 췄던 춤을 춘 거였어요," 라고 밀러는 말한다. "밴드로서, 저희는 항상 어머니의 지혜를 들었어요."


"U.S.Gay"와 테러와의 전쟁 속에서 재판 없이 억류된 테러 용의자들을 바라보고 CIA의 후원을 받는 납치 프로그램을 향해 고개를 끄덕이는 "Extraordinary Rendition" 같은 곡들은 이 밴드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들어설 수 있는 적절한 진입점들이다. "가끔 운동가 밴드라고 불리는 게 어색해요. 왜냐하면 저희는 저희 몸을 내걸거나 앞을 가로막지는 않거든요,"라고 말하는 밀러는 오늘 '와일드 페미니스트'라고 적힌 검정/분홍색의 티셔츠를 입고 있다. "하지만 이 세상에서 예술을 만드는 사람들로서 관여하거나 책임감을 지려고 노력은 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밴드는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공연이 정치색을 띄도록 해왔는데, 모든 연령대가 입장할 수 있도록 자신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이용하는 식이다: 최근, 그들은 21세 미만 관람가 공연을 열었고, 성인들은 21세 미만과 동행해야만 참석할 수 있었다. "저희도 기억해요, 어렸을 때 음악이 저희에게 필수적인 생명줄이었단 걸요,"라고 밀러가 말했다. "저희 작품에서 직접적으로 좋은 영향을 받을 사람들이 공연 매출 및 홍보와 주류 판매를 묶어놓은 경제적 모델 때문에 입장이 거부돼요. 아이들은 자유로워지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을 누릴 자격이 있어요."



"저희가 나이가 안된단 이유로 들어가려고 싸워야 했던 곳들이 얼마나 많았는지 몰라요,"라고 말을 잇던 밀러는 그들의 첫번째 투어를 떠올렸다. "클럽 경비원이 저한테 신분증 달라고 할 때 항상 저는 손에 무거운 드럼 장비들을 가득 들고 있어요. 이런 식이었죠, '아, 이거부터 내려놔야겠다....'"


학교 뮤지컬 연극 수업에서 밀러와 라일라가 만났을 때, 그들은 각각 10살과 12살로 말그대로 애들이었다 ─ 라슨이 소리를 내는 동안, 밀러는 "창피함도 없는 극강의 연극 덕후"로서 <숲속에서(Into the Woods)> 같은 작품의 한 역할을 맡았다. (그들이 마사추세츠에서 자란 아우빈을 만난 건 그로부터 7년 후였다.)


거의 10년이 넘도록, 쏜즈는 4장의 음반을 내고 광범위하게 투어를 다녔다. 그들은 또한 소셜미디어 운동가, 인스타그램 팬 커뮤니티, 끊임없이 트위터를 하는 대통령이 있는 오늘날의 환경 속에서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음악을 발매하는 게 어떻게 다른지도 알고 있다. 밀러는 계속해서 (뭔갈) 보여주는 '피드' ─ 우리를 완전히 정신없게 하다가, 5분 동안 화내고, 그런 뒤엔 또 정신없게 만드는 문화─에 맞서 정치적 목표를 가지고 밴드를 함에 있어서 딸려 오는 문제를 언급했다. 



'

"변화를 가져오려고 노력하는 사람들로서, 잘못된 결과에 신중하는 게 중요하다"고 밀러는 말한다. "주도권이 스스로를 받치는 방법은 점진적인 양보를 통해 이뤄져요. 그리고 억압의 관계를 바꾸지 않고도 이 가상세계에는 그런 양보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이 아주 많죠." 그는 소셜 미디어-기능적인 커뮤니티-빌딩이 얼마나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덧붙였다 ─ 운동가들에게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음악으로 뭉치게 하려는 사람 모두에게 적용되는 정서다. 하지만 이 밴드에게 다른 방법은 없었을 것이다. "이런 걸 얘기하지 않는 것도 그 자체로서 정치적인 선택"이라고 라슨은 말한다. "(저희는) 노래하는 사람이 되기로, 스스로를 다른 이들을 위한 앰프가 되기로 (선택했어요)"


밀러는 동의하며 소셜미디어적 시각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는 걸 인정한다. "어떨 땐 운동이 중요한 부분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느껴질 수도 있어요, 추종자들이 많이 있거든요. 하지만 그게 오직 그 (가상의) 세계에만 존재하는 거라면, 그 파도가 그 풍경을 바꿀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분명히, 이 밴드는 그러한 결과로 생긴 불안을 꼭 붙잡은 채로, 그들이 얘기하고자 정한 방법과 음악을 연료로 하는 그들만의 저항에서 그것들과 싸우고 있다. "부담스러울수도 있어요. 그 충동이 끊어질 수도 있죠. 하지만 우리는 이런 것들이 정부를 위해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를 이끌어내도록 작동하는 법을 이해하는 사람들을 원해요."



"조쉬 같은 사람들이 더 필요하기도 하다"며 덧붙인 밀러는 기술에 정통한 그의 밴드 멤버에게 고개를 끄덕였다. 우리가 떠드는 동안 침묵을 지킨 그는 밴드의 최근 실험적인 소리를 만드는 데 있어 주된 역할을 했었다. (아우빈은 비디오 게임을 만들며 디지털 미디어 작업을 하고 그룹 외적으로 가장 먼저 일레트로닉 음악 작업을 마쳤다.)


"모두 당신이 필요로 하는 만큼 기술이 무엇인지를 알아차리고 그것을 조종해야 한다는 거예요,"라고 아우빈은 말한다. "기술이 우리 모두의 삶에 깊이 배어들었단 사실을 부정할 순 없어요. 얻는 것 없이 저항하려고 할 수도 있고 모든 걸 파괴하지 않으면서 그것과 작업하는 법을 배울 수도 있죠."


"우리의 구원을 위한 모든 계획은 부서진 도구를 새롭게 사용하는 걸 포함하고 있다,"고 밀러가 말을 이었다. "예술의 진실성도 그렇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 보면 그것도 이해가 가요. 이러한 도구들 모두 다 사회의 자기파괴적인 경향을 강화할 수 있고, 혹은 내가 그것들의 진정한 목표라고 생각하는 걸 제공할 수 있도록 그게 재발명될 수도 있어요, 그건 바로 도전하기예요."


라슨도 동의한다: "모든 기계가 제대로 쓰이면 파시스트들을 죽일 거야."


<Deus Sex Machina: or, Moving Slowly Beyond Nikola Tesla>는 현재 발매돼있다. 










Posted by duckoo
: